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아동복지론 - 아동발달의 이해1 (신체적 발달, 인지 발달, 사회정서발달)

by 힐누 2025. 3. 12.

 

아동발달의 이해 1

 

 

1. 신체적 발달

 

1) 신체적 발달의 특징

1. 신체는 점진적으로 성장하며, 몸통보다 팔과 다리의 성장이 빨라지면서 성장통을 경험하기도 합니다.

(교사의 현장 경험상, 눈에 띄는 성장통은 빠르면 초2, 초3 때 겪는 아동들이 보였습니다.

여학생들 중엔 성조숙증을 겪기도 하였고, 남학생들은 성장통을 겪어 며칠씩 아픈 아이들도 있었습니다.)

 

2. 치아는 유치가 영구치로 바뀌며 운동능력도 왕성해집니다.

 

3. 스포츠를 통해 게임규칙 준수, 팀의 구성원들과 상호 협력하는 방법 등 사회적 기술의 학습을 연마하게 됩니다.

 

4. 신체적 성장에 필수적인 영양공급이 적절히 이루어지지 못할 경우 발달에 제한을 겪게 됩니다.

 

5. 사회복지기관에서는 결식아동을 위한 도시락 배달 등의 프로그램 실시가 필요합니다.

 

 

2) 비만

1. 아동 비만 유병률은 1997년엔 5.8%였다가 2007년 10.9%로 10년 사이에 2배가 증가하였습니다.

 

2. 비만은 소모되는 열량보다 섭취한 식사량이 많아 체내에 지방으로 저장된 상태를 말합니다.

 

3. 비만 아동은 만성합병증이나 정신적인 문제, 2차 성징이 빨리 나타납니다.

 

4. 비만아동은 가정에서도 과보호하는 경향이 강해 자발성, 적극성 부족, 신체적 열등감, 정서적 불안정, 학업에 열중하지 못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5. 아동비만 예방을 위한 주의점

- 비마닝 될 수 있는 계기를 만들지 말아야 합니다.

- 과식금지 및 식습관을 개선하는 이해가 필요합니다.

- 적절한 섭취와 충분한 운동량이 필요합니다.

- 정신적 스트레스에 따른 식습관의 혼란도를 사전에 예방해야 합니다.

- 정기적인 건강진단을 실시해 비만을 조기에 발견하고 치료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2. 인지 발달

1) 구체적 조작사고

- 개인의 경험에 기초한 사고

- 향상된 학습 능력

- 탐색하려는 욕구

- 다른 아동의 관점을 수용하는 능력

 

2) 언어적 발달

- 영유아기의 언어 발달

구분 시기 언어 행동
언어습득
이전의 시기
출생 ~ 약 1개월 분화되지 않은 울음
1~2개월 분화된 울음과 쿠잉
4개월 말소리의 식별, 옹알이 시작
6개월 옹알이
언어습득
이후의 시기
12개월(1세) 아가, 엄마 등 일어문 사용이 증가
15~18개월 일어문 시기의 시작, 3~50단어까지 사용 가능
24개월(2세) 일어문 증가, 50단어 이상 사용 가능, 언어로 의사소통하는 것에 흥미를 보임
36개월(3세) 어휘 개수가 1,000여개로 대폭 증가
48개월(4세) 잘 정립된 언어를 사용
6세 문법규칙의 숙달

 

 

 

3. 사회 정서 발달

 

1) 성역할 발달

 

1. 성역할의 개념이란?

- 인간을 분류하는 가장 기본적인 범주는 성별입니다.

- 성별은 남성과 여성의 생물학적 차이이며, 성(gender)은 생물학적인 부분과 더불어 사회적인 영향에 의해 발달하는 남성과 여성다운 특성, 행동 양식에 주로 사용됩니다.

- 성 역할에 대한 고정관념은 여성과 남성의 성역할에 대해 지나치게 일반화되어 있습니다.

 

 

2. 성역할의 형성 과정

- 성 정체감 형성 : 남자와 여자를 구별하고 자신을 남자 또는 여자로 범주화하고 자신의 성을 받아들여 성정체감을 확립하는 것을 말합니다.

 

- 성역할 고정관념 형성 : 유아들은 자신이 남자 또는 여자인지 인식하는 것과 함께 성역할 고정관념을 획득하게 됩니다.

 

- 양성성 : 하나의 유기체 내에 남성적 특성 및 여성적 특성이 함께 존재하는 것을 말합니다.

 

 

2) 공격성 증가

- 아동기의 공격성은 점차 횟수가 증가하며, 공격의 횟수와 방법은 양성 간에 다양합니다.

 

- 부모와 자녀양육방식, 교사와 학생관계, TV폭력에 영향을 받습니다.

 

-  교사는 공격성을 조절하도록 나누기, 협동하기, 돕기 등 좋은것에 대해 경험할 수 있도록 도와야 합니다.

 

- 긍정적 역할 모델을 제공하면 공격적 행동이 줄어들게 됩니다.

 

 

3) 또래관계의 발달

- 사회화의 기능으로 또래와의 관계에서 또래집단의 규칙을 준수해야 하고 협동심이나 타협을 필요로 합니다.

 

- 태도나 가치관이 형성되며 또래집단은 다른 가치에 유선하는 집단만 공유합니다.

 

- 아동은 또래집단으로부터 수용되고 인정받을 때 긍정적 자아개념이 형성됩니다.

 

- 또래집단은 수평적 지식이나 정보교환의 기능을 가집니다.

 

 

4) 정서발달

- 정서란?

자극에 대해 동요, 흥분될 때 경험하는 심리 상태나 감동의 정신적, 신체적 상태를 말하며, 아동기의 주요 정서에는 공포, 울음, 분노, 질투, 기쁨, 애정이 있습니다.

 

 

1. 공포

- 3세말쯤 되면, 시각적인 공포를 보입니다.

- 5세경이 되면, 공포반응을 보이지 않습니다.

- 6세경에는 공포심이 더 심해집니다. 상상력이 발달되고 관찰학습을 통해 공포심을 갖게 되며, 경험세계가 전보다 확장됩니다.

 

 

2. 울음

- 여러가지 다른 상황에서 나타나는 정서 반응입니다.

- 2세 경에는 무섭거나 불안하거나 불쾌할 때에 울기도 합니다.

- 5세 경에는 울음은 참을 수 있게 됩니다.

 

 

3. 분노

- 일을 방해 받거나 원하는 것을 가질 수 없거나 요구를 거절당할 때, 무엇을 강요당하거나 빼앗겼을 때 저항하는 정서를 보입니다.

 

 

4. 질투

- 1세반쯤 되면 질투를 나타냅니다.

- 3~4세경에 질투가 가장 심합니다.

 

 

5. 기쁨과 애정

- 2세경까지는 기쁨이 웃음이나 동작으로 표현됩니다.

- 영아기에는 웃음이 생리적이지만 유아기는 사회적 자극으로 바뀝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