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7 서울시 청년월세 지원을 받을 수 있는 제도 알아보기 서울시 청년월세지원제도는고금리, 고물가 시대로 청년들의 주거 비용이 부담이 되고 있고전세가격 상승과 전세사기에 대한 우려등으로 월세를 선호하는 사람들이 많아지면서 청년들의 높은 주거비 부담을 덜어주고 안정적으로 살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해주기 위해 정부와 지자체에서 시행하는 지원제도입니다. ■ 서울시 청년월세지원 대상 조건나이 : 19~34세주거 형태 : 독립 거주 & 무주택청약통장에 가입한 청년을 지원 ■ 서울시 청년월세지원 소득 조건- 청년가구 소득 : 기준 중위소득 60% 이하 - 원가구 소득 : 중위소득 100% 이하(원가구 소득이란? 부모님 등 가족의 소득을 말해요) ★단, 30세 이상이거나, 30세 미만이지만 소득이 높아 경제적으로 독립한 경우,결혼을 했거나 / 혼인(이혼), 미혼부, 모인 .. 2025. 3. 9. 신생아특례대출 : 저금리로 내집마련 하는 방법 정리 ■ 신생아특례대출은 어떤 상품인가요? 정식 명칭은 '신생아 특례 디딤돌대출'이라고 합니다.주택도시기금에서 우리나라에서 가장 문제 되는 저출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신생아 출산을 장려하고 신생아를 출산한 가정의 주거 안정을 돕기 위해 특례법으로 주택구입자금을 대출해 주는 제도입니다. ■ 목적에 따른 대출 2가지(★각각의 금리와 한도가 다릅니다) 신생아를 낳아 주택 구입 자금이 필요할 경우엔 '신생아 특례 디딤돌대출'(금리가 연 1.6~3.3%)신생아를 낳아 전세자금이 필요한 경우엔 '신생아 특례 버팀목대출'( 금리가 연 1.1~3.0%)을 받는 것으로 나누어집니다. ■ 신생아특례대출 대상대출을 접수한 날을 기준으로 2년 내에 출산한 무주택 세대주(23년 1월 1월 이후 출생아부터 적용 가능)대출을.. 2025. 3. 9. 보육학개론 - 아동복지의 기초 1. 아동의 개념- 아동은 영유아나 초등학교에 다니는 아이를 말하며 신체적, 정신적으로 미성숙한 단계에 있는 사람을 칭한다. - 우리나라에서는 법의 종류에 따라 규정하는 나이나 대상 아동에 따라 부르는 호칭도 아동, 소년, 소녀, 미성년 등 다양하게 부른다. - 아동복지법 제2조 "아동이란 18세 미만의 자를 말한다"라고 규정 - 특수한 경우) 아동에게 교육이나 보호가 지속적으로 필요한 경우에는 20세까지 계속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권리를 주기도 한다. 2. 아동의 정의를 보는 관점 1) 발달 심리학적 관점 : 신체적 성장, 정신적 성숙이라는 입장으로 성숙, 성장, 학습이라는 개념으로 설명한다. 2) 소아 의학적 관점 : 인간의 발달 단계에 따라 발육 상태의 수준에 의해 나눈다. - 태내기: 수정~출생.. 2025. 3. 6. 이전 1 2 다음